본문 바로가기

[네트워크 기초]

응용 계층과 DNS, HTTP

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, DNS(Domain Name System),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는 네트워크와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. 

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
응용 계층은 OSI 7계층 모델의 최상위 계층이며,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 이 계층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직접 상호 작용하며,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. 응용 계층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:

주요 프로토콜과 서비스

  1. HTTP/HTTPS (Hypertext Transfer Protocol / Secure)
    •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다. HTTP는 데이터를 평문으로 전송하며, HTTPS는 SSL/TL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다.
  2. FTP (File Transfer Protocol)
    •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,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.
  3. 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
    •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, 이메일 클라이언트와 메일 서버 간의 통신을 관리한다.
  4. POP3/IMAP (Post Office Protocol 3 /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)
    • 이메일 수신을 위한 프로토콜로,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메일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된다.
  5. DNS (Domain Name System)
    •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로, 웹 브라우저가 도메인 이름으로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.
  6. Telnet/SSH (Secure Shell)
    • 원격으로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로, SSH는 암호화된 통신을 제공한다.

DNS (Domain Name System)

DNS는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분산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. DNS의 주요 역할은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이다.

DNS의 주요 구성 요소

  1. 도메인 이름: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의 주소로, 예를 들어 "example.com"이 있다.
  2. IP 주소: 컴퓨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식별할 수 있는 주소로, 예를 들어 "192.0.2.1"이나 "2001:0db8::1" 같은 IPv4 및 IPv6 주소가 있다.
  3. DNS 레코드: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정보가 포함된다. 주요 레코드 유형은 A (IPv4 주소), AAAA (IPv6 주소), CNAME (Canonical Name), MX (메일 익스체인지) 등이 있다.

DNS 작동 원리

  1.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 입력: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"example.com"을 입력한다.
  2. DNS 조회 시작: 브라우저는 로컬 DNS 캐시를 확인한 후, 캐시에 없으면 DNS 조회를 시작한다.
  3. DNS 서버 계층 구조: 조회 요청은 로컬 DNS 서버로 전달되고, 필요시 루트 DNS 서버, TLD DNS 서버, 권한 있는 DNS 서버로 차례대로 조회하여 IP 주소를 찾는다.
  4. IP 주소 반환: 최종적으로 IP 주소를 찾아서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다.
  5. 브라우저가 IP 주소로 서버에 접속: 브라우저는 반환된 IP 주소를 사용하여 웹 서버에 접속한다.

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
HTTP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.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 사용된다. HTTPS는 HTTP의 보안 버전으로, SSL/TLS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.

HTTP의 주요 구성 요소

  1. HTTP 요청: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로,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:
    • 요청 라인: 메서드(GET, POST 등), 요청 대상(URL), HTTP 버전
    • 헤더: 요청에 대한 추가 정보를 포함 (예: Host, User-Agent)
    • 본문: POST 요청 등에서 사용되며, 데이터를 포함
  2. HTTP 응답: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응답하는 메시지로,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:
    • 상태 라인: HTTP 버전, 상태 코드(200, 404 등), 상태 설명
    • 헤더: 응답에 대한 추가 정보를 포함 (예: Content-Type, Content-Length)
    • 본문: 요청된 리소스 (예: HTML, JSON)

HTTP의 작동 원리

  1. URL 입력: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, 브라우저는 HTTP 요청을 생성한다.
  2. DNS 조회: 브라우저는 도메인 이름의 IP 주소를 찾기 위해 DNS 조회를 수행한다.
  3. TCP 연결 설정: 브라우저는 서버와 TCP 연결을 설정한다.
  4. HTTP 요청 전송: 브라우저는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한다.
  5. 서버 응답: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고, HTTP 응답을 브라우저에 보낸다.
  6. 브라우저 렌더링: 브라우저는 응답받은 데이터를 파싱하고 웹 페이지를 렌더링한다.

결론

응용 계층, DNS, HTTP는 인터넷과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요소다. 응용 계층은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,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고,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관리한다. 이들 기술은 사용자에게 원활하고 안전한 웹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며, 인터넷의 기본 구조를 형성한다.

'[네트워크 기초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삼각함수와 역삼각함수  (0) 2024.06.24
TCP와 UDP  (0) 2024.06.23
socket.io  (0) 2024.06.17
전송 계층의 개념과 필요성  (0) 2024.06.16
동적 라우팅, 정적 라우팅  (0) 2024.06.13